본문 바로가기
안전

산업안전보건관리 체계 구축

by 리셧 2024. 2. 5.
728x90
반응형
SMALL
SMALL

2. 위험요인 제거·대체 및 통제

 

2-1. 위험요인별 위험성 평가

       구축요건

 

구축기준 우수
(5점)
양호
(4점)
보통
(3점)
미흡
(2점)
불량
(1점)
해당
없음
① 발굴한 위험요인에 대해 유형
별로 분류하여 기록관리
           
② 위험성평가 관련 시기, 대상,
방법, 인원구성 등에 대한 규정
           
③ 발생가능성과 중대성을 예측
하여 위험요인별 정도 평가 및
우선순위 결정
           
④ 절차에 따른 위험성평가를
상시·주기적으로 실시하는지 여부
           

 

※ 위험요인을 확인하는 절차 마련 시 고려 사항
    - 위험요인 파악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, 반기 1회 이상 점검 및 조치
    - 사업장 건설물의 설치·이전·변경 등의 신규 도입 또는 변경
    - 기계·기구·설비, 원재료 등의 신규 도입 또는 변경
    - 건설물, 기계, 설비, 원재료 등의 정비 또는 보수
    - 작업방법 또는 작업절차의 신규 도입 도는 변경
    - 중대산업사고 또는 산업재해 발생
    - 안전보건경영시스템 구축을 통해 허용 가능한 위험수준 이내로 개선하고자 할 때
    - 그 밖에 사업주가 필요하다고 판단한 경우

 

2-2. 위험요인 제거·대체 및 통제

       구축요건

구축기준 우수
(5점)
양호
(4점)
보통
(3점)
미흡
(2점)
불량
(1점)
해당
없음
① 제거, 대체, 공학적통제, 행정적
통제, 보호구 순으로 대책 마련
           
② 위험요인별로 복수의 통제
방안을 마련
           
③ 개선방안 마련 시 현장작업자,
관리감독자, 안전보건담당자 등의
참여 여부
           
④ 필요 시 관련분야 전문가 자문
활용 여부
           
⑤ 마련된 개선방안에 대한
사업주의 검토 여부
           

 

 

728x90

 

유해·위험요인의 제거·대체 및 통제방안 예시

 

1. 재해 유형별 예방조치 방안
    1) 떨어짐
        ● 위험요인 : 추락 위험이 있는 모든 장소
        ● 예방 방안 : 교육·주의 등 비재정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가능한 방법을 선택적으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활용하여 합리적으로 요구되는 수준으로 관리되어야 함
        ① 제거·대체
             - 설계·시공시 개구부 최소화, 작업계획 수립단계에서 위험성 평가 실시를 통한

               추락 위험 장소 최소화
        ② 통제
             - (공학적) 추락 위험 장소에 안전난간, 덮개, 추락방호망(Safety net) 등 추락방지

               설비를 설치, 강관비계 아닌 시스템 비계* 사용
               * 규격화된 부재(수직재, 수평재, 가새재 등)를 안정적인 구조로 조립하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사용하는 비계
             - (행정적) 작업 전 관리감독자의 안전대 부착 설비와 추락방호망 점검 및 작업자들의

               안전대 착용 지시, 추락위험 표지판 설치
        ③ 개인 보호구
             - 모든 작업자는 언제나 안전모·안전대 등 보호구 착용

 

    2) 끼임
        ● 위험요인 : 끼임 위험이 있는 기계·기구를 사용하는 작업
           * 위험기계에 대한 기본적인 안전조치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참고
        ● 예방 방안 : 교육·주의 등 비재정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가능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
           합리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함
           ① 제거·대체
                - 끼임 위험이 없는 자동화 기계 도입 또는 작업 방법·동선 고려
           ② 통제
                - (공학적) 기계·설비의 작업점에 센서, 덮개 등 방호장치 설치, 기어·롤러의 말림점이나
                  벨트·체인 등 동력전달부에 방호덮개 설치
                - (행정적) 방호조치와 안전인중(자율안전확인신고) 및 안전검사 여부 확인, 위험기계·기
                  구의 정비·수리 등 비정형작업 전 운전 정지, 기동스위치 잠금조치 및 표지판(조작금지)
                  설치(Lock Out, Tag Out), 작업허가제*등
                  * 작업부서가 소관 상급부서 또는 안전부서의 허가·승인을 거쳐 작업을 실시
          ③ 개인 보호구
               - 말려 들어갈 위험이 없는 작업복 착용

 

     3) 화재·폭발 재해 예방
         ● 위험요인 : 화재·폭발 위험이 있는 물질이나 작업
             * 화학물질별 위험성과 관리체계는 물질안전보건자료(MSDS)에서 확인
         ● 예방 방안 : 교육·주의 등 비재정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가능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
            재해방지를 위해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함
         ① 제거·대체
              - 화기작업 시 내부 인화성 물질 제거 및 인근 가연물 제거, 건설공사 시 비가연성 자재로 대체
         ② 통제
              - (공학적) 용적작업시 용접불티 비산방지덮개 또는 용접방화포 설치
              - (행정적) 화재·폭발 위험 장소에서 화기작업 시 작업장 내 위험물 현황을 파악하는 절차
                수립, 화기작업 시 가스 및 분진 농도 측정 및 주기적 확인, 작업 중 화재감시인 배치
         ③ 개인 보호구
              - 제전작업복 착용, 가스검지기 휴대, 방폭공구 사용
      4) 질식 재해 예방
          ● 위험요인 : 밀폐공간 등 질식 위험이 있는 모든 장소
          * 최근 10년 간('11~'20년) 밀폐공간 질식 재해자 316명 중 168명 사망(53.2%)

 

※ 밀폐공간
     -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환기가 불충분한 공간
     - 산소결핍,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, 화재·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서 산업안전보건
       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8에서 정한 장소(18개 작업장소)
* 산소결핍 : 공기 중의 산소농도가 18% 미만인 상태
** 유해가스 : 밀폐공간에서 탄산가스, 일산화탄소, 황화수소 등 기체로서 인체에 유해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영향을 미치는 물질

 

        ● 예방 방안 : 교육·주의 등 비재정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가능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
           재해 방지를 위해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함
           ① 제거·대체
                - 설계단계부터 사업장 내 밀폐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장 조성, 밀폐 공간 내부의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기계·기구 제거(예 : 내부모터 → 외부모터)
           ② 통제
                - (공학적) 환기·배기장치 설치, 유해가스 경보기 설치
                - (행정적) 출입금지 표지판 설치, 작업허가제 도입, 작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등
                  작업수칙 규정, 감시인 배치
           ③ 개인보호구
                - 송기마스크 착용

반응형

 

2. 비정형작업 재해 예방

 

● 비정형작업
   - 작업조건, 방법 순서 등 표준화된 반복성 작업이 아니고, 작업의 조건 등이 일상적이지 않은
     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정비·청소·급유·검사·수리·교체·조정 등의 작업
   - (위험의 특성) ① 위험이 특정 기계·설비에 국한되지 않음 ② 생산 효율을 위한 전원 미차단
     이나 방호장치 부재 또는 해체, 안전절차 및 교육 부재 등으로 인한 인재(人災)적 특성
● 비정형작업 재해예방 기법
   ① 정비 등의 작업시의 운전정지(Lock Out, Tag Out)
        - 기계의 정비·수리 등 작업을 위해 가동을 중지할 경우, 제3자의 재가동을 방지하도록 잠
          금장치* 또는 표지판을 설치하는 관리기법
* 전기 잠금장치, 스위치 잠금장치, 게이드밸브 잠금장치, 볼밸브 잠금장치, 자물쇠·걸쇠 등

          - (절차) 전원차단 준비 및 공지 → 정지 → 전원차단 및 잔류에너지 확인 → 잠금장치·표지
            판 설치 → 정비 등 실시 → 주변상태 확인 및 공지 → 잠금장치·표지판 제거 → 재가동
     ② 작업허가제
          - 고위험 비정형작업의 경우, 작업부서가 소관 상급부서 또는 안전부서의 허가·승인을
             거쳐 작업을 실시하는 안전관리 기법
          - (절차) 안전작업허가 신청(작업자) → 안전조치 확인 및 허가(안전담당자) → 작업(작업자)
             및 감독(안전담당자) → 완료확인 및 허가서 보존(안전담당자)

 

3. 화학물질 관리


1) 유해물질 관리
     ● 유해물질(유기화합물, 금속류, 산·알칼리류, 가스상태 물질류)은 근로자의 건강에 위해를
        가하므로 엄격한 관리 필요
        *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19(유해인자별 노출농도의 허용기준) 및
          고용노동부 고시 「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」참고
        - 유해물질 취급 전 반드시 물질안전보건자료(MSDS)를 참고하여 해당 물질의 유해·위험성
          및 적정 보호구, 비상 시 대응요령 숙지 필요
        - 직업성 암 유발물질 등은 원칙적으로 제조·사용 등 금지(산안법 제117조), 대체 불가능한
          화학물질은 고용노동부장관의 허가 필요(산안법 제118조)
        - 관리대상유해물질(산업안전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12)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
          규칙 제3편 제1장에 따라 사용

 

▲ 사업주는 제조등금지유해물질, 허가대상유해물질, 관리대상유해물질을 취급하는 근로자
    에게 정기적으로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해야 함
    * 특수건강검진 대상 유해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22 참조

 

▲ 허가대상유해물질, 관리대상유해물질을 사용하는 사업주는 정기적으로 작업환경 측정을
     실시해야 함
* 작업환경측정 대상 유해물질은 산업안전보건법 시행규칙 별표21 참조
** 30인 미만 사업장은 정부지원제도 활용가능

 

2) 위험물질 관리
    ● 화재·폭발 등의 원인이 되는 위험성을 가진 물질(위험물질')은 취급부주의 등에 따라
       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전수칙 준수 필요
* ①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, ② 물반응성 물질 및 인화성 고체, ③ 산화성 액체·고체,

   ④ 인화성 액체, ⑤ 인화성 가스, ⑥ 부식성 물질, ⑦ 급성 독성 물질

 

- 대규모 재난을 야기할 수 있는 51종*의 위험물질을 규정량 이상 사용하는 경우 공정안전보
   고서** 작성·심사 및 이행 필요
* 산업안전보건법 시행령 별표13 '유해·위험물질 규정량' 참고
** 공정안전자료, 공정위험성평가서, 안전운전계획, 비상조치계획 등을 필수 기재

 

● (기타)물리적·생물학적·인간공학적 인자를 제거·대체하지 못하는 경우 산업안전보건
기준에 관한 규칙에 따른 보건기준(제3편') 준수 필요

 

* 소음·진동(제4장), 기압(제5장), 온도·습도(제6장), 병원체(제8장), 분진(제9장),

   밀폐공간(제10장), 사무실(제11장), 근골격계부담작업(제12장), 기타(제13장)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